컴퓨터 구조18 프로세스 - 중앙처리 장치 (CPU) 중앙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레지스터 군은(Register Set 또는 Register Bank) 프로그램상의 명령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또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일을 담당하고 산술 논리장치(Arithmetic Logie Unit : ALU)는 데이터의 산술연산 및 논리연산을 실행하는 데 사용된다. 제어회로 (Control Circuits)는 CPU 내에서 시간 및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송 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4.1.1 기능적 측면에서의 구분 (1) 제어 기능 제어 기능은 입출력 장치의 제어, 기억 장치에 정보의 입력과 출력 및 이동, 기억 장치와 연산 논리 기능사이에서 정보의 순차적인 지령 .. 2022. 12. 27. 논리 회로 - 순차 논리 회로의 설계 (1) 순차 논리 회로의 설계 절차 일반적으로 순차 논리회로는 조합논리 회로에 플립플롭이 포함되어 어떤 논리 기능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논리회로이다. • 회로의 특성으로부터 상태도(State Diagram)를 그린다. • 상태도로부터 필요한 플립플롭의 개수와 입력 수를 정한다. • 상태표를 작성한다. • 상태표로부터 플립플롭의 여기표와 전이표를 유도한다. • 입력 조건을 간략화한다. • 논리 회로도를 설계한다. 상태표(State Table) 입력과 출력 그리고 플립플롭 상태 등 순서 회로의 모든 상태를 나타낸 표로써 현재 상태, 다음 상태, 그리고 출력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 표를 말한다. 상태도(State Dlagram) 상태표에 나타난 정보를 그림으로 표시한 것으로서 상태들은 원으로 표시하며 상태 사이.. 2022. 12. 27. 논리 회로 - 논리 게이트 디지털 컴퓨터에서 논리 회로는 0과 1의 두 개의 안정된 2진 정보에 의해서 동작하는 회로이다. 이는 두 개 이상의 입력 단자와 하나의 출력 단자를 갖는 게이트(Gate) 또는 플립플롭 (Flip-Flop)으로 구성되거나 게이트와 플립플롭의 복합회로로 구성된다. 디지털 논리 회로는 이들의 구성과 작동원리에 따라 조합 논리 회로(Combinational Logic Circuits)와 순서 논리 회로(Sequential Logic Circuits)로 구분하는데 조합 논리회로는 입력에 따라 출력이 얻어지는 게이트 회로가 대부분 이에 속하며 순서논리회로는 조합 논리 회로와는 달리 출력이 입력뿐만 아니라 기억 소자인 플립플롭에 기억되어 있던 정보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논리 회로는 실제 5V의 전압을 1로 취급.. 2022. 12. 27. 컴퓨터의 역사 - 컴퓨터의 구성 1.3.1 퍼스널 컴퓨터의 정의 컴퓨터는 전자식 자료처리 시스템으로서.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컴퓨터를 구성하고 있는 기계 그 자체인 하드웨어와 그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인 소프트웨어로 나눈다. 또한, 성능 개선을 목적으로 소프트웨어를 하드웨어 화한 것을 펌웨어(firmware)라고 한다. 하드웨어는 컴퓨터를 이루는 기계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자료의 저장을 담당하는 기억장치(memory device), 기억장치 속으로 자료를 읽어들이는 역할을 하는 입력장치(input device), 기억된 자료를 처리하는 논리연산장치(AIU: Arithmetic Logic Unit), 처리된 결과를 외부로 내보내어 주는 출력장치(output device), 그리고 이들의 동작을 제어 • 총괄하는 제어장치.. 2022. 12. 27. 컴퓨터의 역사 - 제1세대 컴퓨터 (1) 1세대 컴퓨터 1951-1958 컴퓨터에 데이터나 명령어들을 저장하기 위해서 진공관을 사용했던 시대를 제1세대 컴퓨터라고 한다. 진공관을 사용함으로써 전력 소모가 많고 열이 많이 발생하므로 고장이 많았고 열을 식히기 위한 부가적인 냉각장치가 필요했다. 부피 또한 매우 커 지금의 컴퓨터하고는 비교가 안 될 만큼의 넓은 공간이 필요했다. 결과적으로 제1세대의 컴퓨터는 많은 유지보수 비용에도 불구하고 신뢰성이 매우 낮은 컴퓨터이다. 하드웨어 개발에 중점을 둔 시대로서, 컴퓨터의 상품화와 실용화가 시작된 시기였다. 대표적인 컴퓨터 기종으로는 UNIVAC 1과 IBM 650과 700 계열, Burroughs 220 등을 들 수 있고, 주로 과학계산과 자료분류 등에 사용되었다. UNIVAC 1은 정보에 접근.. 2022. 12. 26. 컴퓨터의 역사 - 기계식 계산기의 시대 컴퓨터는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전자 제품 중의 하나이고 여러 매스컴을 통해 제일 많이 듣는 용어 중의 하나이다. 컴퓨터는 주위에서 많이 볼 수 있고 생활필수품이 지금과 같은 컴퓨터가 나오게 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처음에는 수학자들에 의해서 복잡한 수치를 처리하려는 시도로써 시작되었고 이러한 시도는 주로 하드웨어에 의존했으나 하드웨어의 발전이 뒤따라주지 못해 직접 만들 수는 없었다. 그 이후 전자공학의 발전과 하드웨어 가격의 하락으로 꾸준한 발전을 가져왔으며, 하드웨어에만 치중하던 연구는 사용자 측면에서 고려한 소프트웨어의 개발로 연결되었다. 1.1.1 컴퓨터의 역사 (1) 기계식 계산기의 시대 고대 바빌론에서 고대인들이 셈을 하기 위하여 손과 손가락을 사용하여 땅에 적당한 깊이의 작.. 2022. 12. 26. 이전 1 2 3 다음